보도자료 HOMEK보도자료 보도자료 제목내용태그검색 보도자료 [IFA2022] LG전자, OLED TV를 이을 프리미엄 제품은 OLED 모니터다!IFA2022가 시작되기 전날인 9월1일 프레스와 VIP에게 공개된 전시 부스는 이전과는 사뭇 다른 프리미엄 제품 위주의 간결한 컨셉이었다.이전 IFA에서는 입구에 수십장의 OLED 패널과 구성된 OLED Wall (또는 OLED Valley)로 시작되어, LG전자가 ..UBI RESEARCH2022-09-02452022년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 2630만대 전망유비리서치에서 분기별 발간하는 “3Q22 Medium & Large OLED Display Market Track”에 의하면 2022년 2분기 중대형OLED 디스플레이 시장은 16.7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는 1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의미한..UBI RESEARCH2022-09-011612022년 소형 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 7억 2480만대 전망유비리서치에서 분기별 발간하는 “3Q22 Small OLED Display Market Track”에 의하면 2022년 2분기 소형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은 78.7억 달러로 집계되었다.2022년 2분기 소형 OLED디스플레이 시장은 전 분기 대비 16% 감소하였으며..UBI RESEARCH2022-08-31482Q22 OLED 발광재료 시장 4.12억 달러, 전년 동 분기 대비 7.8% 상승유비리서치에서 분기별 발간하는 “3Q22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에 의하면 2022년 2분기 OLED 발광재료 구매액은 4.12억 달러로 집계되었다.2022년 2분기 OLED 발광재료 시장은 전 분기 대비 2.1% 감소하였으며,..UBI RESEARCH2022-08-2932[IMID 2022] ETRI, 상부 유리가 제거된 ‘Stacked QD-OLED’ 선보여8월 23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IMID 2022에서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Development of QD-OLED Technology with Fine Quantum Dot Pixel Array using Inkjet Printing Pro..UBI RESEARCH2022-08-2645[IMID 2022] Kyulux의 hyperfluorescence, 상용화까지 한걸음 남았다.8월 23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진행된 ‘IMID 2022’에서 Kyulux의 Junji Adachi CSO는 RGB hyperfluorescence의 성능을 공개하며, 상용화까지 얼마 남지 않았다고 발표했다. 또한, hyperfluorescence가 상용화..UBI RESEARCH2022-08-2681[IMID 2022] 삼성디스플레이, 내년 초 49인치와 77인치 QD-OLED 패널 양산 시작2022년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IMID 2022’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77인치 QD-OLED와 ‘Flex S’, ‘Flex G’, ‘Flex Note’, ‘Flex Gaming’ 등의 폴더블 OLED, ‘Diamond pixel’ ..UBI RESEARCH2022-08-2553[IMID 2022] LG디스플레이, 초소형 OLED부터 대형 OLED까지 다양한 제품 선보여2022년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IMID 2022’에서 LG 디스플레이는 87인치 대형 OLED와 자동차용 OLED, 폴더블 OLED, 투명 OLED, 0.42인치 마이크로 OLED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투명 OLED의 크기는 ..UBI RESEARCH2022-08-2554[IMID 2022 Keynote] 삼성디스플레이, 2022년 OLED 빅스텝 발표8월 23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IMID 2022에서 삼성디스플레이 최주선 사장이 ‘Changing Display Industry with Disruptive Innovation’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중장기 계획으로 8G IT O..UBI RESEARCH2022-08-2569녹색 발광재료, 고주사율 트렌드의 핵심 재료 되나oled 재료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은 120 Hz의 빠른 주사율을 지원한다. 이러한 빠른 주사율은 화면의 전환을 부드럽게 하고 특히 게임 안에서 역동적인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지만, 그만큼 많은 전력 소모는 피할 수 없다.삼성전자나 Apple 등 주요 세트 업..UBI RESEARCH2022-08-2347 891011121314151617Powered by MangBoard | 워드프레스 쇼핑몰 망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