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보고서
중국 OLED 산업동향 분석보고서
₩5,000,000
2021년 5월 22일
PDF(222P)소개
중국 OLED 시장은 COVID19로인해 성장이 둔화 되었다가 작년 하반기부터 패널 업체들의 OLED투자와 라인증설이 재개 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OLED 산업동향 분석 보고서’는 중국 패널 업체의 사업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부품소재와 발광재료의 현황과 서플라이 체인을 분석하였다.
중국 OLED 실적을 분석하고 시장 전망을 예측한 이번 보고서는 중국 OLED 산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가이드가 될 것이다.
목차
1.개요
2.중국 OLED 제품 산업 현황
2.1 2021년 상반기 스마트폰 출시 동향
2.2 폴더블폰과 롤러블폰 동향
2.3 업체별 양산 모델 분석
2.4 2021년 상반기 OLED TV 출시 동향
2.5 OLED TV 제품 동향
3.중국 패널 업체별 OLED 전시 동향
3.1 BOE
3.2 CSOT
3.3 EverDisplay Optronics
3.4 Tianma
3.5 Visionox
3.6 워치용 OLED 전시 동향 분석
3.7 폴더블과 롤러블 OLED 전시 동향 분석
3.8 TV용 OLED 전시 동향 분석
4.중국 패널 업체 OLED 사업 현황
4.1 BOE
4.2 CSOT
4.3 EverDisplay Optronics
4.4 Tianma
4.5 Visionox
4.6 Royole
5. OLED용 중국 부품소재 시장
5.1 주요 부품소재 시장 실적 분석
5.2 주요 부품소재 시장 전망
6.중국 발광재료 시장
6.1 패널 업체별 서플라이 체인과 패널 구조 분석
6.2 중국 발광재료 시장 실적 분석
6.3 중국 발광재료 시장 전망
7.장비 Supply chain 분석
7.1 모바일 기기용 OLED 장비 서플라이 체인
7.2 BOE B7/B11/B12 세부 서플라이 체인
7.3 CSOT T4-ph2 장비 공급 업체
7.4 Visionox V3 장비 공급 업체
8.중국 OLED 패널 업체 캐파 분석
8.1 양산 캐파 전망
8.2 업체별 양산 캐파 전망
8.3 세대별 양산 캐파 전망
8.4 모바일 기기용 업체별 양산 캐파 전망
8.5 모바일 기기용 기판 type별 양산 캐파 전망
9. 중국 OLED 실적 분석
9.1 분기별 전체 매출 실적
9.2 업체별 시장 실적 분석
9.3 제품별 시장 실적 분석
9.4 스마트폰용 OLED 시장 실적 분석
9.5 워치용 OLED 시장 실적 분석
보고서샘플
이전 보고서 현황
Related Products
-
AMOLED 제조 공정 보고서 Ver.5
₩4,000,0002023년 1월 19일
PDF(309p)AMOLED 제조 공정 보고서 Ver.5에는 기판부터 모듈까지 각 레이어별로 소형과 중대형 OLED의 구조와 제조 공정, 검사 공정이 수록되어 있다. 이번에 발간된 AMOLED 제조 공정 보고서 Ver.5 에는 폴더블 OLED의 구조와 WRGB OLED와 QD-OLED의 발광구조 히스토리, color filter on encapsulation(COE)의 구조와 공정이 새롭게 추가되거나 업데이트 되었다.
본 보고서는 디스플레이 관련 업체들의 AMOLED 제조 공정을 이해하기 위한 필독 보고서가 될 것이다. -
2022 Micro-Display 기술 보고서
₩5,000,0002022년 3월 22일
PDF(116p)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진화함에 따라 시작된 스마트 시대가 다시 한번 진화를 예고하고 있다. 바로 스마트폰 기능이 안경 형태의 AR Glass로의 진화이다.
스마트폰은 손이나 가방, 호주머니에 가지고 다닐 수 있는 기기이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분류되지만, AR Glass는 얼굴에 착용하는 기기이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분류된다.
AR Glass는 안경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유리가 전면에 있으며,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도 이 유리에 상이 맺힌다. 따라서 사용자는 걸어 다니면서 정보를 바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투명한 유리를 통해 보이는 사물에 겹쳐 여러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 이제까지의 정보 기기와 다른 새로운 경험을 느끼게 해 준다.
AR Glass를 이루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로서는 실리콘 기판에 액정 또는 OLED가 놓여 있는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와 OLEDoS(OLED on silicon) 그리고 micro-LED, MEMS 등이 있다.
또한 VR 기기는 메타버스 시대에서 필수적인 디바이스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VR 기기는 게임과 영화들을 이제까지 존재한 어떤 디바이스 보다 현장감이 있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VR용 디스플레이 역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Apple과 Meta, Google, Sony 등 세계 최고의 IT 기업들이 앞 다투어 AR Glass와 VR 기기 개발과 상품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게임기들을 대체할 새로운 디바이스인 AR Glass와 VR 기기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향후 정보 기기를 대체할 게임 체인처로 수년 이내에 자리 매김할 것이다.
이번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보고서에서는 AR Glass와 VR 기기 개발 업체의 제품 동향과, AR과 VR의 핵심 부품인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현재 개발 상황을 면밀하게 조사하여 기술적 진보와 문제점등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
2022 OLED와 QD-LED 최신기술개발 동향
₩5,000,0002022년 8월 26일
PDF(213P)이번에 발간 한 ‘2022 OLED와 QD-LED 최신기술개발 동향 “보고서는 진화 중의 OLED의 현재 상황과 향후의 발전 방향을 알 수 있도록 최신 기술 동향을 수록했다. 또한 OLED를 이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불리고있는 QD-LED에 관한 최신 기술 동향도 보고서에 넣었다. QD 자체가 발광하는 LED가 있다면 색 영역이 넓은 자발광의 디스플레이가 되며, 더욱이 solution process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