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5,000,000
2023년 10월 5일
PDF(79P)소개
IT기기에서도 OLED 시장 열린다
스마트폰과 워치, TV에 집중되어 있던 OLED 산업이 모니터와 노트북, tablet PC 시장에서도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IT용 OLED는 TV용 OLED와 유사한 휘도를 요구하지만, 모바일 기기 OLED 급의 저소비전력 특성이 요구된다. 그뿐만 아니라 IT용 OLED는 스마트폰용 패널 제조에 사용되는 6세대 장비가 아닌 8.6세대 장비에서 생산되어야 채산성이 확보된다.
소비전력이 낮은 OLED를 제조하기 위한 TFT로서 LTPO-TFT와 oxide TFT가 사용될 것이다. 스마트폰용 OLED는 6세대 장비에서 LTPO-TFT 제조가 원활하지만, 8.6세대에서는 ELA 장비의 한계로 8.6세대 유리를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oxide TFT를 사용하게 되면, 내부 보상 기술이 아직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않아 외부 보상을 해야 하므로 드라이브 IC를 많이 사용해야 하고, 또한 베젤이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OLED 구조는 single stack보다는 휘도가 높은 tandem 구조의 2 stack OLED 구조가 채택될 예정이다. Encapsulation은 TFE가 적용된다.
8.6세대 장비에서 IT용 OLED 생산을 준비하는 업체로서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BOE, Visionox 4개사가 있다. 각 사의 생산 전략은 모두 다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미 5.5세대와 6세대 장비에서 노트북과 tablet PC용 OLED를 생산하고 있으며, 추가로 8.6세대 장비 발주도 시작했다. LG디스플레이 역시 6세대 장비에서 foldable notebook과 tablet PC용 OLED 생산을 준비 중에 있다. Visionox는 FMM 대신에 photolithography 기술로서 OLED를 패터닝 하는 공정을 개발하고 시설 투자를 준비하고 있다. BOE 역시 8.6세대 IT용 OLED 장비 발주를 검토하고 있다.
IT용 OLED 시장은 어떤 TFT와 OLED의 구조를 사용할 것이지에 의해 승패가 좌우될 것이다.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는 IT용 OLED 성능과 수율, 제조 코스트를 결정지을 각종 기술에 대해 정밀 분석하였다. 고성능의 TFT와 OLED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면밀히 분석함에 의해 OLED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업체들이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더불어 IT용 OLED 시장을 전망하여, 모바일 기기와 TV용 OLED 시장을 이을 IT용 OLED 시장 성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2. LTPO TFT Backplane
2.1 LTPS TFT와 Oxide TFT, LTPO TFT 비교
2.2 LTPS TFT 패널과 LTPO TFT 패널 성능 비교
2.3 LTPO TFT 패널의 소비 전력이 낮은 원리
2.4 LTPO TFT 적용 제품
2.5 LTPO TFT 생산 업체 현황
2.6 업체별 LTPO TFT 화소 회로 성능
2.7 LTPO TFT 제조 원가 이슈
2.8 저가 LTPO TFT 기술
3. 8세대 기판 TFT Backplane
3.1 LTPO TFT 제작
3.2 Oxide TFT 개발 현황
3.3 8세대 대응 IGZO 타겟 공급 업체
3.4 고 이동도 Oxide TFT 필요성
3.5 8세대 대응 Oxide TFT의 요구 성능
3.6 IT제품용 Oxide TFT 내부 보상회로
4. RGB Tandem OLED
4.1 Single OLED와 Tandem OLED 비교 (성능 및 cost)
4.2 Tandem OLED 소자 특성
4.3 Single OLED와 Tandem OLED 소자 구조
4.4 Tandem OLED의 이슈 (저계조 color shift)
5. 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5.1 COE 기술의 필요성
5.2 편광판 적용 패널과 COE 패널의 특성 비교
5.3 COE 공정
5.4 패널 업체별 COE 개발 현황
6. Hybrid OLED
6.1 Hybrid OLED의 장점
7. Photolitho OLED
7.1 Photolitho OLED 기술 발표 사례
7.2 패널 업체별 Photolitho OLED 개발 현황
7.3 Photolitho OLED 기술들의 공통점
7.4 Photolitho OLED 주요 특허
8. OLED 패널 업체 양산 캐파 분석과 전망
8.1 삼성디스플레이
8.2 LG디스플레이
8.3 BOE
8.4 TCL CSOT
8.5 Visionox
8.6 업체별 IT용 OLED 라인 캐파
8.7 연간 기판 면적 전망
9. OLED 출하량 전망
9.1 전체
9.2 응용 제품별
9.3 패널 업체별
보고서샘플
이전 보고서 현황
Related Products
-
2024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02024년 8월 30일
PDF(158P)올 해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모델과 화웨이의 메이트패드 프로모델에 tandem OLED가 적용된 tablet PC가 출시되었다. 그리고 삼성디스플레이와 BOE가 IT제품을 위한 8.5세대 라인 투자가 구체화되면서 IT제품에 OLED를 채용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또한 on-device AI 노트북 생태계가 형성이 되면서 소비전력이 적게 드는 OLED 노트북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
XR용 Micro-LED Display 기술 보고서
₩02025년 1월 21일
PDF(109p)Micro-LED 디스플레이는 OLED에 이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지만, 제작 공정의 복잡성, 높은 생산 비용, Full-Color 구현, 그리고 수율 관리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상용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평가되고 있다.
-
2025 Automotive Display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02025년 2월 11일
PDF(217P)자동차 산업은 단순한 기계적 혁신을 넘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Software-Defined Vehicle) 시대를 맞이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기술과 전기차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과거 차량 내 디스플레이는 단순한 정보 제공 장치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운전자와 탑승자가 차량과 소통하는 가장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고 또한 디자인 및 브랜드 차별화 요소로 자리 잡으며, 자동차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